분류 전체보기(262)
-
Vue에서 Azure blob storage에 파일 업로드 하기 Express 사용
ejs처럼 프론트엔드와 백엔드가 같은 서버를 쓰면 전달이 잘되지만, 프론트 서버가 있어 통신을 할때 방법은 따로 있다. vuetifyjs를 사용해서 프론트를 만들었다. 구동방식은 비슷하다. 업로드 먼저 new FormData()를 사용해서 form 형식에 데이터와 파일을 넣어주면 된다. 하지만 주의 할 점이있다. const fd = new FormData() fd.append('name', this.name) fd.append('blobData', this.blobData, { type: '*/*' }) 이 부분에서 fd.append('name', this.name)같은 text값은 무조건 file 전에 있어야 한다. fd.append('blobData', this.blobData, { type: '*/..
2020.10.29 -
Azure Blob Storage에 파일 업로드 하기 Node(Express) 사용
Azure Blob Storage에 파일을 업로드 한다. 순서 : 프론트엔드에서 데이터 값과 파일을 업로드 => 백엔드에서 파일을 Azure Blob Storage으로 컨테이너명, blob데이터명을 정해서 업로드 먼저 라이브러리들을 설치한다. npm i multer-azure-blob-storage multer 먼저 ejs로 프론트 엔드 코드를 작성한다. 컨텐츠 이름: 파일 이름: bookdata: 업로드 이렇게 작성하면되는데 주의할점은 enctype="multipart/form-data" 부분을 꼭 써주어야 한다. azure 포탈에서 본인의 Storage accounts에서 Settings에 있는 Access keys에 들어가 본인의 key값과, Connection String Storage accou..
2020.10.29 -
Vue Interceptor 설정하여 Authorization 값 넣기
설정하기 headers.Authorization에 jwt 요청 마다 인증을 값을 넣어 백서버와 서로 인증을 할 수 있게 할것이다. 먼저 인증절차가 끝난 경로와 인증절차를 해야하는 경로 두개로 나누어 url.js파일을 만든다. 인증절차가 끝난 경로는 계속해서 인증값을 전달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Interceptor 를 사용한다. 파일 구성은 이렇게 한다. 구성 interceptor.js //store에 저장된 토큰을 import하기 위함 import store from '../../store/storeIndex' export function setInterceptors (instance) { instance.interceptors.request.use( function (config) { //Authoriz..
2020.10.28 -
Node (Express)에서 JWT사용 하기
방법 : jwt를 생성하여 cookie에 저장을 시켜 유저확인을 할때 마다 쿠키에있는 jwt 값을 가지고 권한을 계속 인증, 확인을 하는 방식 jwt 생성, 전달 npm i jsonwebtoken 으로 jsonwebtoken를 설치한다. 형식 : jwt.sign(payload,secretOrPrivateKey, [options, callback]) jwt에 비밀키가 무조건 있어야 한다. jwtSecret라는 변수에 비밀키를 생성 키켜준다. jwt.sign({ email: user.email, }, jwtSecret, { expiresIn: '1d', issuer: 'localhost', subject: 'user_info' }) email = 비공개 클레임으로 개인적으로 만들어주면된다. jwtSecret..
2020.10.28 -
JWT 간단한 설명
JSON Web Token (JWT) 두 개체에서 JSON 객체를 사용하여 (self-contained) 방식으로 정보를 안전성 있게 전달해준다. JWT . 을 구분자로 3가지의 문자열로 되어있습니다. header : 헤더 typ : 토큰이 타입 지정 alg : 해싱 알고리즘 지정 : ) 보통 HMAC SHA256 RSA 사용 payload : 정보 등록된 클레임 iat : 토큰 발급된 시간 exp : 토큰 만료 시간 iss : 토큰 발급자 sub : 토큰 제목 비공개 클레임 _id , email, level 클라이언트, 서버간 협의하에 사용하는 클레임 이름 으로 구성이된다. jwt내용을 확인 할 수 있는 사이트 jwt.io/ 참고 : velopert.com/2389velopert.com/2389velo..
2020.10.28 -
우분투에서 node 12 설치
우분투에서 node 설치 sudo apt-get update curl -sL https://deb.nodesource.com/setup_12.x | sudo -E bash - sudo apt-get install -y nodejs 출처: https://avisynth.tistory.com/23 [avisynth's blog]
2020.1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