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271)
-
AWS - Route Table
Route Table트래픽이 발생 했을 시 라우트 테이블은 설정된 대상으로 전달하도록 합니다.route table은예를 들어 Public/Private를 각각 연결해 트래픽을 관리합니다. 또한 Public Subnet과 같이 외부와 연결을 해야하는 경우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향하는 라우팅을 설정합니다.
2025.06.11 -
AWS - 인터넷 게이트웨이 (IGW)
인터넷 게이트웨이 (IGW)Routing Table와 연결하여 외부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리소스입니다. 네이밍 : school-dev-igwex) {운영하려는 서비스 명}-{환경(dev)}-{리소스명(igw)}
2025.06.11 -
AWS - Subnet (Public/Private)
Subnet사용이유 :VPC에서 IP를 더 작게 나누어 목적에 따라 사용하기 위함 네이밍 :school-dev-public-subnetex) {운영하려는 서비스 명}-{환경(dev)}-{Public/Private}-{리소스명(subnet)}설정방법 :1. 같은 영역에서 Public/Private를 서로 할당한다.2. 서브넷 마다 제공하는 256개 IP를 /24 대역을 나누고, Public과 Private는 계층 단위로 나눈다./24 대역으로 나눈이유 :Public/Private를 각각 2개씩 구분이 가능하다. 계층 단위로나눈 이유 :운영 및 모니터링이 간편하다.
2025.06.11 -
AWS - VPC
VPC사용 이유 :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네트워크를 격리하고 제어하기 위함네이밍: 이름 태그를 생성 할 때는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작성한다school-dev-vpcex) {운영하려는 서비스 명}-{환경(dev)}-{리소스명(vpc)}IPv4 CIDR (Classless Inter-Domain Routing) 10.0.0.0/16 설정이유AWS 권장 값, IP 수가 많아서 확장이 여유로움
2025.06.11 -
Kubernetes 정리
1.매니페스트 파일 => 쿠버네티스 리소스 관리 파일2.파드 네트워크는 로컬과 분리되었어서 로컬 네트워크와 파드의 네트워크를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3.Service, Deployment, Pod 같은 리소스를 Object라고 한다. 명령어# 파트 조회kubectl get pods# 파트 포워딩kubectl port-forward pod/파드명 [로컬 포트]/ [파트 포트]# 파드 삭제kubectl delete pod [파드명]# 파드 세부 정보 조회kubectl describe pods [파드명]# 파드 로그 조회kubectl logs [파드명]# 파드 내부 접속kubectl exec -it [파드명] — [base 또는 sh]# 매니페스트 파일을 기준으로 리소스 생성kubectl apply -f [..
2025.05.26 -
Kubernetes [ Service ]
Service : 서비스는 로드밸런서와 요청을 받는 역활을 한다.app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name: test-service # Service의 이름spec: # Service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 type: NodePort # Service의 타입 (NodePort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함) selector: # 이 Service가 연결할 Pod를 선택하는 레이블 셀렉터 app: test-app # 'app: test-app' 레이블을 가진 Pod를 선택 ports: # Service가 노출할 포트 정의 목록 - protocol: TCP # 사용할 프로토콜 (TCP 또..
2025.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