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4)
-
Kubernetes 정리
1.매니페스트 파일 => 쿠버네티스 리소스 관리 파일2.파드 네트워크는 로컬과 분리되었어서 로컬 네트워크와 파드의 네트워크를 포트포워딩이 필요하다.3.Service, Deployment, Pod 같은 리소스를 Object라고 한다. 명령어# 파트 조회kubectl get pods# 파트 포워딩kubectl port-forward pod/파드명 [로컬 포트]/ [파트 포트]# 파드 삭제kubectl delete pod [파드명]# 파드 세부 정보 조회kubectl describe pods [파드명]# 파드 로그 조회kubectl logs [파드명]# 파드 내부 접속kubectl exec -it [파드명] — [base 또는 sh]# 매니페스트 파일을 기준으로 리소스 생성kubectl apply -f [..
2025.05.26 -
Kubernetes [ Service ]
Service : 서비스는 로드밸런서와 요청을 받는 역활을 한다.appVersion: v1kind: Servicemetadata: name: test-service # Service의 이름spec: # Service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 type: NodePort # Service의 타입 (NodePort는 클러스터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함) selector: # 이 Service가 연결할 Pod를 선택하는 레이블 셀렉터 app: test-app # 'app: test-app' 레이블을 가진 Pod를 선택 ports: # Service가 노출할 포트 정의 목록 - protocol: TCP # 사용할 프로토콜 (TCP 또..
2025.05.26 -
Kubernetes [ Deployment ]
DeploymentapiVersion: apps/v1kind: Deploymentmetadata: #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구성하는 데이터 name: test-deployment # Deployment의 이름# Deployment 세부 정보spec: # Deployment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 replicas: 3 # Deployment가 유지할 Pod 복제본의 개수 selector: # Deployment가 관리할 Pod를 선택하는 레이블 셀렉터 matchLabels: # 일치해야 하는 레이블 키-값 쌍 app: test-app # 'app: test-app' 레이블을 가진 Pod를 선택 # 배포할 Pod 정의 (Pod Template) templat..
2025.05.25 -
Kubernetes [ Pod ]
Pod애플리케이션 컨테이너를 실행하기 위한 가장 작은 단위 apiVersion: v1kind: Podmetadata: # 오브젝트를 식별하고 구성하는 데이터 name: test-server # 식별이 가능한 이름spec: # Pod의 원하는 상태를 정의 containers: # Pod 내에서 실행될 컨테이너 목록 - name: test-server-container # 이 컨테이너의 이름 image: test-server # 컨테이너가 사용할 이미지 이름 ports: # 컨테이너가 외부에 노출할 포트 목록 - containerPort: 3000 # 컨테이너 내부에서 사용할 포트 번호..
2025.05.25